print()로 첫 코드를 실행하는 과정

파이선을 처음 배우는 분들을 위해 Print()로 첫 코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쉽게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썬을 처음 배우는 많은 분들이 가장 먼저 만나는 코드가 바로 print() 함수입니다.
"왜 첫 코드가 항상 print()일까?"라는 질문이 생기지만, 사실 이 함수는 프로그래밍의 기본 개념을 가장 쉽게 이해하게 만드는 출발점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코드의 동작을 눈앞에 보여주는 기능이 바로 print()이기 때문에, 초보자에게도 코드가 실제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해주는 가장 좋은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는 파이썬을 설치한 직후, 가장 처음 실행하는 코드인 print() 함수 실행 과정 전체를 쉽고 세세하게 안내해드립니다.
Print()가 무엇이고 왜 첫 코드인가
파이썬에서 Print()는 "출력해 줘"라는 뜻을 가진 함수입니다.
컴퓨터에게 어떤 글자나 결과를 화면에 보여달라고 요청하는 명령이죠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print("Hello World")
위에 작성된 코드는 > "따옴표 안에 있는 글자를 그대로 화면에 보여줘"라고 명령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럼 왜 첫 코드가 Print()인지 정리
- 눈으로 빠르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 다른 코드는 내부 계산만 하고 결과를 안 보여주는 경우도 많지만, Print()는 바로 화면에 보이므로 가장 직관적입니다.
- 문법 구조를 자연스럽게 익힌다.
- 작은따옴표/큰따옴표, 괄호, 문자열
- 이런 기본 문법은 자연스럽게 보게 됩니다.
-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괄호를 빼먹거나 따옴표를 닫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 이 오류들은 초보자가 이해하기 가장 쉬운 형태입니다.
- 프로그래밍 핵심 원리를 담고 있다.
-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린다. > 결과가 나온다. 이 흐름을 한 번에 체험하게 됩니다.
Print() 코드 실행
파이썬 실행 환경 열기
- 파이썬을 설치한 후 IDLE를 실행해 주세요
- 프로그램 목록에서 IDLE (Python 3.x) 실행합니다.


새 파일 만들기
- IDLE 창 상단 메뉴를 보면 File, Edit, Format, Run 등의 메뉴가 보입니다.
- 여기서 File > New File을 클릭해 줍니다. 그러면 아무것도 없는 하얀 창이 나오게 됩니다.


Print() 코드 작성하기
- print("Hello World")
- 이 코드에서 Print는 함수 이름이며, () 괄호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 괄호 안에는 "출력하고 싶은 것"을 넣습니다.
- 글자를 출력할 때는 양쪽을 따옴표로 감싸야합니다.
- 상단 메뉴에서 File > Save를 클릭해서 저장해 주세요

코드 실행하기
- 상단 메뉴 Run > Run Module을 클릭합니다. (단축키 F5로도 가능합니다.)
- 이걸 누르면 결과가 출력되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그 외에 다음 줄에 다른 내용을 추가하고 저장한 다음 실행시키면 그대로 출력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럼 조금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파이썬 설치를 처음 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할 기본 요소는 무엇인가요? (키워드: 파이썬 설치 기본 요소)
- 파이썬 설치를 처음 시작하는 분이라면 설치 버튼을 누르기 전에 몇 가지 중요한 요소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첫 번째 요소는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비공식 사이트에서 받은 설치 파일은 버전이 잘못되거나 보안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두 번째는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인지 체크해야 합니다. Windows라면. exe, Mac은. pkg, Linux는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합니다.
- 세 번째는 설치 화면에서 Add Python to PATH 옵션을 반드시 체크해야 합니다. 이 옵션을 체크해야 명령 프롬프트에서 python 명령을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네 번째는 설치 버전이 Python 3.x인지 확인해야 하며 Python 2는 더 이상 권장되지 않습니다.
- 마지막으로, 설치가 끝난 뒤 python --version 명령으로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이 다섯 가지를 점검하면 파이썬 설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대부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print() 함수는 무엇이며 파이썬에서 어떤 역할을 하나요?
- print() 함수는 파이썬에서 화면에 내용을 출력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가장 기본적인 함수입니다.
- 이 함수는 내부 계산이나 처리 결과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초보자에게 print()가 중요한 이유는 코드의 동작을 직접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예를 들어 print("Hello")를 입력하면 따옴표 안의 문장이 그대로 화면에 출력됩니다. 이 과정은 파이썬의 기본 구조인 ‘함수 호출 → 결과 출력’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 또한 문자열, 숫자, 변수 등 다양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 print()는 디버깅에서도 매우 유용하여 프로그램이 어떤 흐름으로 실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처음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사람은 print()만 제대로 이해해도 기본 원리를 빠르게 습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이썬 학습의 첫 단계로 print()를 익히는 것은 필수입니다.
- 이 함수는 앞으로 조건문, 반복문, 함수, 자료형 등을 배울 때도 계속 사용될 것입니다.
- print() 안에 문자열을 넣을 때 왜 따옴표를 사용해야 하나요?
-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반드시 따옴표로 감싸야하는 규칙이 있습니다. 이는 컴퓨터가 글자와 코드 명령을 구분하기 위해 필요한 약속입니다.
-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으면 파이썬은 문자열을 변수나 다른 명령으로 오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rint(Hello)는 오류가 발생하지만 print("Hello")는 정상 동작합니다.
- 작은따옴표(' ')와 큰따옴표(" ")는 기능적으로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그러나 따옴표가 열리고 닫히는 짝이 맞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하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 따옴표 안에 따옴표를 넣어야 할 때는 서로 다른 종류를 섞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 print("I'm happy")처럼 큰따옴표로 감싸고 작은따옴표를 문자열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따옴표 사용 규칙을 정확히 이해하면 문자열 출력에서 발생하는 많은 오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 규칙은 파이썬을 배울 때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기본 문법입니다.
- print() 함수 안에 숫자를 넣을 때 따옴표가 필요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숫자는 문자열이 아니라 실제 숫자 데이터이기 때문에 따옴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파이썬은 숫자 형태를 만나면 자동으로 정수 또는 실수 데이터로 인식합니다. 따라서 print(10)은 10이라는 숫자 그대로를 출력합니다.
- 하지만 print("10")은 문자열 형태의 10을 출력하며 둘은 의미가 다릅니다. 숫자형 데이터는 따옴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만약 숫자를 계산하고 싶다면 반드시 따옴표 없이 사용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print(5 + 3)은 8을 출력하지만 print("5 + 3")은 "5 + 3"이라는 글자만 보여줍니다. 이 차이를 이해하면 데이터 타입과 문자열의 개념을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래밍에서는 숫자와 문자열을 구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초보자는 이 둘의 차이를 print()로 연습하면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습니다.
- print()로 여러 값을 한 번에 출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print()는 여러 값을 쉼표로 구분하여 한 번에 출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rint("나이:", 20, "점수:", 95)처럼 여러 요소를 나열할 수 있습니다.
- 쉼표를 사용하면 각 값 사이에 자동으로 공백이 들어가므로 읽기 쉬운 형태로 출력됩니다. 숫자와 문자열이 섞여 있어도 파이썬이 자동으로 형식을 맞춰 출력합니다.
- 문자열 연결 연산자인 +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문자열끼리만 연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숫자를 문자열과 연결할 때는 쉼표 방식이 더 안전합니다.
- 여러 값을 출력하는 방식은 디버깅 과정에서도 자주 사용됩니다. 프로그램의 흐름이나 변수 상태를 확인할 때 효율적입니다.
- 여러 값 출력 기능은 초보자에게 매우 유용한 기본 도구입니다. 이 기능을 충분히 연습하면 데이터 출력 방식에 대한 감각을 키울 수 있습니다.
- print()에서 줄 바꿈이 자동으로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print() 함수는 기본적으로 출력 후 줄 바꿈을 포함하는 구조입니다. 이 때문에 print("A")와 print("B")를 실행하면 두 문장이 다른 줄에 출력됩니다.
- 이는 파이썬이 다음 출력이 새 줄에서 시작되게 설계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줄바꿈을 포함하는 문자를 ‘개행 문자’라고 합니다.
- print()는 자동으로 개행 문자를 추가하여 출력 후 줄을 넘깁니다. 만약 줄바꿈을 하지 않으려면 print("A", end="")처럼 end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 이 기능은 간단한 텍스트 UI를 만들 때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end 옵션을 변경하면 출력 형식을 더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 기본 동작을 이해하면 줄바꿈 관련 오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동 줄 바꿈은 print()의 핵심 기본 기능 중 하나입니다.
- end= 옵션은 어떻게 사용하는지 예시로 설명해 주세요.
- end 옵션은 print() 출력 후 어떤 문자를 붙일지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본값은 end="\n"으로 줄 바꿈을 의미합니다.
- 만약 줄바꿈을 없애고 싶다면 end=""로 설정하면 됩니다. 예: print("Hello", end="")와 print("World")를 실행하면 HelloWorld로 출력됩니다. 또한 end=" "를 사용하면 띄어쓰기를 할 수 있습니다.
- 여러 문장을 한 줄에 출력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예를 들면 for문에서 print(i, end=", ")를 사용하면 숫자가 한 줄에 출력됩니다.
- end 옵션을 이해하면 출력 형식을 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은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습니다.
- 간단한 실습을 통해 다양한 출력 형태를 시도해 보면 더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 sep= 옵션은 무엇이며 어떻게 사용하나요?
- sep 옵션은 print()에서 여러 값을 출력할 때 구분자를 변경하는 기능입니다. 기본 구분자는 띄어쓰기(" ")입니다.
- 하지만 sep 옵션으로 원하는 문자를 직접 지정할 수 있습니다. 예: print("2025", "01", "01", sep="-") → 2025-01-01
- 이 기능은 날짜, 시간, 파일 경로 등을 출력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 숫자와 문자열을 조합하여 다양한 형식을 만들 수 있습니다.
- sep 옵션을 사용하면 문자열 조작 과정을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가 print()의 확장 기능을 배우는 데 가장 적합한 옵션입니다.
- sep의 개념을 이해하면 보다 깔끔하고 읽기 쉬운 출력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 print()에서 생기는 가장 흔한 오류는 무엇인가요?
- 첫 번째 오류는 괄호를 빼먹는 경우입니다. 예: print "Hello"는 Python 3에서는 오류입니다.
- 두 번째는 따옴표가 열리고 닫히지 않은 경우입니다. 예: print("Hello)처럼 따옴표가 하나만 있으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 세 번째는 문자열과 숫자를 잘못 연결하려 할 때 발생합니다. 예: print("나이:" + 20) → 타입 오류 발생
- 네 번째는 쉼표를 사용하지 않고 복잡한 표현식을 잘못 작성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오류는 초보자에게 매우 자주 발생하지만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오류 메시지를 읽고 어떤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찾는 연습이 중요합니다.
- print()로 변수의 값을 출력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 변수를 먼저 선언하고 print() 안에 변수 이름을 입력하면 됩니다. 예: age = 20, print(age)
- 문자열과 함께 출력하고 싶다면 print("나이:", ag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숫자와 문자열을 자동으로 구분하여 출력해 줍니다.
- 변수를 여러 개 출력할 때도 쉼표 방식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이 방법은 디버깅이나 데이터 확인에서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 변수 이름을 정확하게 입력해야 오류 없이 출력됩니다. 변수 출력은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본 중 기본입니다.
- 이 과정을 반복하면 변수 개념이 쉽게 익혀집니다. 실제로 많은 개발자들이 print()를 디버깅에 가장 많이 활용합니다.
- 문자열 안에 따옴표를 넣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문자열 내부에서 따옴표를 사용하려면 외부 따옴표와 종류를 다르게 쓰면 됩니다. 예: print("I'm happy")처럼 큰따옴표를 사용하면 작은따옴표를 내부에 넣을 수 있습니다.
- 반대도 가능합니다. 단일 따옴표 안에 단일 따옴표를 넣고 싶다면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print('I'm happy')
- 이스케이프 문자는 문자열 안에서 특수 기호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문자열 표현을 자유롭게 하려면 따옴표 선택과 이스케이프 문자를 적절히 조합해야 합니다.
- 초보자는 서로 다른 따옴표를 사용하는 방식이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문자열에서 따옴표를 다루는 방식은 다양한 텍스트 출력에서 활용됩니다.
- 이 개념을 익히면 더 복잡한 문자열도 쉽게 다룰 수 있습니다.
- print() 함수에서 숫자 계산 결과를 출력할 수 있나요?
- 네, print()는 숫자 연산 결과도 출력할 수 있습니다. 예: print(5 + 3)은 8을 출력합니다.
- 또한 곱셈, 나눗셈, 나머지 연산도 모두 실행 가능하며 결과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문자열과 숫자를 함께 출력하고 싶다면 쉼표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연산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print()는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특히 초보자가 코드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변수와 연산을 조합해도 동일하게 출력할 수 있습니다. 예: x = 10, y = 3, print(x * y)
- 프로그래밍 학습 초반에는 print()로 수학 연산을 반복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 방식은 연산자 개념을 자연스럽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print()를 이용해 여러 줄을 한 번에 출력할 수 있나요?
- 가능합니다. 첫 번째 방법은 문자열 안에서 \n을 사용하여 줄 바꿈을 넣는 것입니다. 예: print("Hello\nPython\nWorld")
- 두 번째 방법은 삼중 따옴표(""" """)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식은 긴 문장을 여러 줄로 출력할 때 매우 편리합니다.
예: print("""Hello
Python
World""") - 두 방식 모두 출력 결과가 여러 줄로 표시됩니다. 문서 형식의 출력이나 긴 설명을 보여줄 때 유용합니다.
- 이 개념은 기초지만 출력 형식을 구성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술입니다. 여러 줄 출력은 초보자에게도 쉽게 익힐 수 있는 기능입니다.
- print()에서 f-string을 사용해 변수 값을 출력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 f-string은 파이썬에서 문자열을 간단하게 구성하는 최신 방식입니다. 문자열 앞에 f를 붙이고 { } 안에 변수 이름을 넣어 사용합니다. 예: name = "Tom", print(f"Hello, {name}")
- 이 방식은 가독성이 좋고 사용법이 간단하여 최신 파이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여러 변수를 한 문장에 넣고 싶을 때도 매우 효율적입니다. 예: print(f"{a} + {b} = {a+b}")
- f-string은 형식 지정(formatting)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 print(f"{pi:. 2f}")는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출력합니다.
- 이 기능은 데이터 출력이 복잡해질수록 더욱 강력해집니다. 초보자에게도 쉽게 익힐 수 있는 직관적인 문법입니다.
- print() 결과가 화면에 보이지 않을 때 확인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
- 첫 번째는 코드가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실행하면 이전 코드가 실행될 수 있습니다.
- 두 번째는 print() 함수의 괄호나 따옴표가 제대로 닫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세 번째는 실행 환경(IDLE, 터미널, VS Code)이 정상 동작 중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 네 번째는 오류 메시지가 있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오류 메시지가 있으면 print()가 실행되기 전에 코드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 다섯 번째는 실행 창이 너무 빨리 닫히는 경우입니다. 특히 Windows에서는 실행 후 창이 즉시 닫히는 경우가 흔합니다.
- 이때는 input()을 마지막 줄에 넣어 창이 닫히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이 확인 과정을 통해 출력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print()로 출력할 때 숫자와 문자열을 함께 사용할 때 오류를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숫자와 문자열은 직접 + 연산으로 연결할 수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print("나이:", age)처럼 쉼표 방식을 사용해야 안전합니다.
-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하고 싶다면 str()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print("나이: " + str(age))
- 이 방식은 타입 오류를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숫자와 문자열이 섞인 출력은 초보자에게 흔한 실수입니다.
- 쉼표 방식은 파이썬이 자동으로 형식을 맞춰주기 때문에 초보자에게 적합합니다.
-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식은 프로그램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타입 변환 개념을 배우는 첫 단계로도 적합합니다. 이 원칙을 지키면 출력 오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print() 함수에 공백을 추가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무엇인가요?
- 첫 번째 방법은 문자열 내부에 직접 공백을 넣는 것입니다. 예: print("Hello World")
- 두 번째 방법은 여러 값을 쉼표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자동으로 공백이 들어갑니다.
- 세 번째는 end=" " 또는 sep=" " 옵션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예: print("Hello", end=" ")
- 공백은 출력 형식을 깔끔하게 만들 때 중요한 요소입니다. 문자열 포매팅 기능을 사용하면 더 정교하게 공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프로그램 출력이 복잡해질수록 공백 조절 능력이 중요해집니다. 공백 처리 방식은 print() 기능 중 가장 직관적으로 배울 수 있는 부분입니다.
- print()에서 줄 바꿈 없이 여러 번 출력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end 옵션을 사용하면 됩니다. 기본값 end="\n"을 end=""로 변경하면 줄 바꿈이 사라집니다. 예: print("A", end=""), print("B", end="")
- 이 코드를 실행하면 AB가 출력됩니다. end=" "을 사용하면 문장 사이에 공백을 삽입할 수도 있습니다.
- 이 기능은 진행 상태 표시기(progress bar)를 구현할 때도 유용합니다. 예: print(".", end="")를 반복하면 진행 표시가 됩니다.
- end 옵션을 이해하면 다양한 출력 형태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어 실습에 많이 활용됩니다.
- 줄바꿈 제어는 출력 형식 조정의 기본 단계입니다.
- print()로 사칙연산 결과를 함께 출력하는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
- 가장 쉬운 방법은 쉼표 방식으로 문자열과 계산 결과를 함께 출력하는 것입니다. 예: print("5 + 3 =", 5 + 3) 이 방식은 타입 오류도 없고 가독성도 좋습니다.
- f-string을 사용하면 더 깔끔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예: print(f"5 + 3 = {5 + 3}") 복잡한 계산도 f-string 안에 직접 넣을 수 있어 편리합니다.
- 문자열 포매팅 기능을 사용하면 출력 형식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사칙연산 결과 출력은 연습하기 가장 좋은 예제이기도 합니다.
- 초보자는 계산식과 출력 결과가 어떻게 연결되는지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수학 연산과 문자열 처리 개념을 동시에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print()를 사용해 디버깅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무엇인가요?
- 디버깅이란 코드에서 잘못된 부분을 찾는 과정입니다. print()는 디버깅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 변수 값이 기대한 대로 변하는지 출력해 보면 오류를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예: print("현재 값:", value)
- 조건문이나 반복문이 제대로 실행되는지 확인할 때도 print()가 유용합니다. 프로그램의 흐름을 차례대로 확인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복잡한 프로그램에서도 print() 문은 빠르게 문제를 찾는 데 도움을 줍니다. 초보자는 print()를 디버깅 도구로 자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이 기술은 개발자가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게 되는 기본 디버깅 방식입니다. 어떤 IDE를 사용하든 print() 디버깅은 필수적으로 활용됩니다.
- print() 실습을 더 깊게 하기 위해 어떤 연습을 하면 좋을까요?
- 첫 번째는 문자열 출력 연습입니다. 두 번째는 숫자 연산 출력 연습입니다.
- 세 번째는 sep과 end 옵션을 이용해 출력 형식을 바꿔 보는 것입니다. 네 번째는 변수 값을 출력하는 실습입니다.
- 다섯 번째는 f-string을 활용해 여러 정보를 한 문장에 출력하는 방법입니다. 여섯 번째는 여러 줄 출력 연습입니다.
- 일곱 번째는 오류 상황을 일부러 만들어 오류 메시지를 익히는 것입니다. 여덟 번째는 작은 프로그램을 만들어 중간 결과를 print()로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 아홉 번째는 간단한 진행 상태 표시기를 print()로 만드는 연습입니다. 이런 연습들은 print() 함수의 활용 능력을 자연스럽게 확장시켜 줍니다.
print()는 단순히 글자를 보여주는 기능을 넘어 프로그래밍의 시작점이 되는 매우 중요한 함수입니다.
파이썬을 배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장 먼저 마주하고,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 명령입니다.
이번 글에서 알아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파이썬 설치 후 첫 코드 실행 과정
- print() 함수의 기초 개념
앞으로 변수, 리스트, 조건문, 반복문을 배우더라도 print()는 계속 사용됩니다. 오늘 배운 내용은 파이썬 전체 학습의 기초가 되니 꼭 기억해 두시면 좋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내용이 있으시다면 하단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Python] 파이썬 VSCode 연동 설치법, 왕초보도 10분이면 끝!
ochosblogg.blogspot.com
[Python] 파이썬 처음 시작할 때 꼭 알아야 할 IDLE 사용법!
초보자도 IDLE를 통해 쉽게 할 수 있어요 파이썬을 설치하고 가장 먼저 알아야 할 도구 IDLE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파이썬 설치는 완료했는데 어떻게 사용해야할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서 IDL
raphaelspace7.com
[Python] 처음 배우는 파이썬! 설치부터 Hello World 출력까지 쉽게 따라 해요
파이썬을 처음 접하는 사람도 쉽게 따라 할 수 있어요 이제는 챗지피티가 대신 코딩을 해주기도 하죠 그 외...
blog.naver.com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ython] 파이썬 처음 시작할 때 꼭 알아야 할 IDLE 사용법! (0) | 2025.05.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