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ffice 365

[Office365] 워드 그림 삽입 방법 정리

반응형
워드 문서에 그림을 넣는 다양한 방법

 


ChatGPT 이미지 생성

 

워드에서 사진이나 그림을 추가할 때 방법이 여러 가지라서 헷갈릴 수 있습니다.

어느 상황에서는 드래그가 빠를 수 있고, 어떤 상황에서는 메뉴 삽입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JPG, PNG, SVG처럼 그림 파일에도 서로 다른 특징이 있습니다.

그림을 넣는 모든 대표 경로를 아주 쉽게 따라 하도록 단계별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삽입 경로 정리

  • 드래그 앤 드롭 
    • 바탕화면 또는 폴더에서 그림 파일을 마우스로 잡고 끌어서 워드 문서 안에 추가하는 방식입니다.
    • 커서가 있는 위치로 즉시 들어옵니다.
    • 바로 크기 조절 점(모서리)을 끌어 크기를 맞춥니다.
      • 장점: 가장 빠릅니다. 여러 파일도 한 번에 가능합니다.
      • 파일이 많을 경우 무거워질 수 있습니다.

 

  • 복사해서 붙여넣기(클립보드)
    • 그림 파일 또는 웹의 이미지를 마우스 오른쪽 > 복사
    • 워드에서 Ctrl + V(붙여 넣기)
      • 장점: 복사 하나로 모든 걸 해결
      • 단점: 웹 이미지도 복사가 가능하니 저작권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메뉴로 삽입
    • 상단 삽입 탭 > 그림 클릭
    • 이 디바이스를 클릭하면 내 컴퓨터의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스톡 이미지/온라인 그림은 온라인의 이미지를 가져옵니다.
    • 가져올 파일을 선택한 후 삽입을 하면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위치 지정 서식 옵션 바로 가능

 

  • 온라인 그림/URL로 삽입
    • 검색 창에 키워드를 검색하여 추가할 수 있습니다.
    •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한 후 삽입합니다.
      • 장점: 바로 검색해서 넣기 편합니다.
      • 주의: 사용 허용 라이선스가 있는지 확인해합니다.
      •  

 

  • 스크린숏으로 삽입
    • 삽입 > 스크린숏
    • 현재 열려 있는 창 미리 보기에서 선택하거나, 화면 클리핑으로 영역만 지정합니다.
      • 장점: 튜토리얼과 보고서에 유용합니다.
      • 단점: 화면이 그대로 찍히기 때문에 개인정보가 화면에 찍히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 아이콘, 도형, 스마트아트
    • 삽입 > 아이콘에서 깔끔한 선 그림 삽입
    • 삽입 > 도형으로 상자, 화살표 등 추가
    • 스마트 아트로 단계/흐름 구조도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장점: 확대해도 깨지지 않아 발표 자료에 좋습니다.

 

  • 스캔한 이미지/카메라 사진 가져오기
    • 휴대폰으로 사진 촬영 > PC로 전송(클라우드, 케이블, 메신저 등등)
    • 메뉴로 삽입 과정 혹은 드래그 등으로 추가

그림 삽입 후 필요한 작업

  • 크기 조절: 모서리를 잡고 대각선으로 줄이면 비율이 깨지지 않습니다.
  • 자르기: 그림 도구 > 자르기로 필요 없는 가장자리 제거
  • 텍스트와 어울리기(줄 바꿈): 그림 클릭 > 레이아웃 옵션(개체 배치)
    • 텍스트 줄 바꿈: 사각형, 밀착, 위/아래, 글 앞/뒤 중 선택
  • 앵커 이해: 줄 바꿈을 바꾸면 그림 옆에 닻(앵커)이 생성됩니다.
    • 그 문단에 그림이 묶였다는 뜻으로 문단이 움직이면 그림도 따라갑니다.
  • 정렬: 여러 그림 선택 > 상단 정렬에서 왼쪽/가운데/가로간격 맞춤
  • 캡션(그림 번호): 그림 오른쪽 클릭 > 캡션 삽입으로 "그림 1.." 자동 넘버링
  • 대체 텍스트(접근성): 그림 오른쪽 클릭 > 대체 텍스트에 한 줄 설명 입력

문서가 무거울 때(용량 줄이는 방법)

  • 그림 압축: 그림 선택 > 그림 형식 > 그림 압축 > 해상도 웹(150 ppi) 또는 인쇄(220 ppi) 선택
  • 크게 붙여 넣기 금지: 4000px 사진을 10%로 줄여 쓰면 불필요하게 무겁습니다. 미리 리사이즈해야 합니다.
  • 불필요한 투명 PNG 줄이기: 배경이 꼭 투명할 필요 없으면 JPG로 저장해 가볍게 합니다.

자주 생기는 문제 & 해결 방법

  • 사진이 흐릿합니다 > 원본 해상도가 낮아서 그렇습니다 더 큰 원본 사용 또는 자르기/확대 최소화가 필요합니다.
  • 글자가 밀려요 > 줄 바꿈을 사각형/위아래로 바꾸고 앵커가 묶인 문단을 확인합니다.
  • 그림이 자꾸 움직입니다 > 고정 위치(레이아웃 옵션 > 절대 위치)로 설정합니다.
  • 인쇄 색이 다릅니다 > 인쇄 미리 보기로 확인하고, 그림 보정에서 밝기/대비 조절
  • 용량이 너무 큽니다 > 그림 압축 + JPG 재저장 + 필요 없는 그림 삭제
  • 웹 이미지 저작권 > 사용 허가 문구 확인. 가능하면 직접 촬영/ 무료 라이선스 활용

자 그럼 조금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드래그로 넣은 그림이 너무 커요 어떻게 줄여야 하나요?
    • 그림을 클릭하면 모서리에 조절점이 생깁니다.
    • 이 점을 대각선 방향으로 끌어주면 비율이 유지된 채 작아집니다.
    • 가로/세로 점만 잡으면 찌그러질 수 있으니 꼭 모서리를 사용해야 합니다.
    • 정확히 크기를 맞추고 싶다면 '그림 도구 > 크기'에서 숫자로 조절하면 됩니다.
    • 페이지마다 균일하게 보이게 하려면 "정렬 > 간격 맞춤"을 활용해야 합니다.
    • 마지막으로, 너무 큰 원본 이미지는 미리 줄여서 삽입하면 문서가 훨씬 가벼워집니다.
  • 붙여 넣기(Ctrl + V)로 넣은 그림이 흐릿합니다.
    • 웹에서 복사한 그림은 해상도가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 가능하면 그림을 파일로 저장 후 '삽입 > 그림'으로 불러옵니다.
    • 복사한 이미지는 화면에 맞춰 자동 축소될 수 있어 흐릿해집니다.
    • 사진을 확대하거나 자르지 말고 원본 크기 그대로 유지합니다.
    • 최종 인쇄용이면 "그림 압축"에서 220 ppi로 품질을 높이면 훨씬 선명해집니다.
  • 사진 옆에 글을 감싸게 놓고 싶습니다.
    • 그림을 선택하고 '레이아웃 옵션' > '텍스트 줄 바꿈'을 클릭합니다.
    • 사각형을 고르면 글이 네모 형태로 그림을 감쌉니다.
    • 좀 더 붙이고 싶다면 "밀착", 위아래로 띄우고 싶다면 "위/아래"를 선택합니다.
    • 그림의 위치는 "왼쪽"이나 "오른쪽" 정렬로 깔끔하게 고정할 수 있습니다.
    • 글과 그림이 겹친다면 "여백 옵션"에서 간격을 조금 주면 안정적입니다.
  • 그림이 자꾸 움직입니다. 고정하고 싶어요
    • 그림을 클릭 후 레이아웃 옵션 > 절대 위치를 설정하면 고정됩니다.
    • 혹은 오른쪽 클릭 > 고급 레이아웃에서 문단 기준을 해제하세요
    • 표 안에 넣으면 표 셀을 따라가서 잘 흐트러지지 않습니다.
    • 캡션과 함께 "그룹"으로 묶으면 그림과 글이 함께 이동합니다.
    • 문서가 복잡할수록 구역 나누기로 영역을 분리하면 더 안정적으로 유지됩니다.
  • JPG와 PNG는 언제 각각 쓰나요?
    • JPG는 인물 사진이나 풍경처럼 색이 많은 이미지를 쓸 때 좋습니다.
      • 용량이 작고 다양한 색을 잘 표현합니다.
    • PNG는 투명 배경이 필요하거나 글자, 로고를 넣을 때 유리합니다. 크게 확대해도 선이 깨끗하게 유지됩니다.
      • PNG는 용량이 커질 수 있으니 보고서용이라면 JPG로 변환해 두는 것도 방법입니다.
  • SVG는 뭐고 왜 쓸까요?
    • SVG는 벡터 이미지로 확대해도 전혀 깨지지 않습니다.
    • 주로 로고나 간단한 선 아이콘을 넣을 때 좋습니다.
    • 워드에서 색상 변경이나 회전도 자유롭습니다.
    • 사진처럼 복잡한 이미지는 SVG로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 발표 자료나 도형 중심의 문서에 사용하면 선명하고 가볍습니다.
  • 온라인 그림을 써도 괜찮을까요?
    • "삽입 > 온라인 그림"으로 검색하면 무료 사용 가능 이미지가 나옵니다.
      • 단, 반드시 "라이선스" 표시를 확인해야 합니다.
    • 상업용이 금지된 이미지를 블로그나 보고서에 쓰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 가장 안전한 방법은 직접 찍은 사진이나 무료 이미지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출처를 캡션 아래 적어두면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 문서 용량이 너무 큽니다. 빨리 줄이는 방법이 있을까요?
    • 그림 선택 > 그림 압축 > 웹(150 ppi) 선택
    • 해상도가 너무 높은 사진은 미리 축소 후 삽입
    • PNG 대신 JPG로 저장하면 용량이 줄어듭니다.
    • 필요 없는 그림은 삭제하고, 중복 이미지는 복사로 재사용하세요
    • 완료 후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면 자동으로 최적화됩니다.
  • 보고서에 그림 번호를 자동으로 붙일 수 있을까요?
    • 그림을 오른쪽 클릭 > 캡션 삽입을 선택합니다.
    • 자동으로 "그림 1."이 붙고 이후 추가 시 "그림 2.", 그림 3."이 생성됩니다.
    • 중간에 그림을 삭제하거나 추가해도 번호가 자동으로 갱신됩니다.
    • "참조 > 그림표 만들기"로 목록도 만들 수 있습니다.
    • 캡션을 그림과 함께 "그룹"으로 묶으면 위치가 변하지 않아 깔끔합니다.
  • 색이 칙칙합니다. 워드에서 색 보정이 가능할까요?
    • 그림을 클릭 후 그림 형식 > 색/수정을 눌러보세요
    • 밝기, 대비, 색온도, 채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 배경이 단색이면 " 투명색 지정"으로 깔끔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필요한 부분만 남기려면 "자르기"로 테두리를 정리하세요
    • "그림 스타일"에서 그림자나 테두리를 주면 훨씬 생생하게 보입니다.
  • 그림에 설명글(캡션)을 자동으로 달고 싶습니다.
    • 그림을 마우스 오른쪽 클릭 > 캡션 삽입을 선택합니다.
    • "그림 1. 실습 화면"같은 문장이 생깁니다.
    • 위치도 위나 아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이후 그림표(목차)를 만들 때 자동으로 인식돼 정리됩니다.
    • 보고서에서 통일감 있게 보이니 습관처럼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 텍스트가 그림 뒤로 숨겨졌어요. 어떻게 복구하나요?
    • 그림을 클릭하고 "레이아웃 옵션> 글 뒤에 배치"가 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 글이 가려졌다면 "글 앞에 배치"로 바꾸면 복구됩니다.
    • 또는 "위/아래"로 하면 그림과 글이 겹치지 않습니다.
    • 이 기능은 표지 디자인이나 배경 이미지 넣을 때 유용하지만, 본문 내용과 겹칠 땐 항상 줄 박무 형태를 조정해야 합니다.
  • 그림의 모서리를 둥글게 만들고 싶습니다.
    • 그림 클릭 > 그림 형식 > 그림 스타일 > 모서리 둥글게를 선택합니다.
    • 또는 도형으로 자르기 > 둥근 사각형으로 바꾸면 자동으로 둥글게 됩니다.
    • 각도는 마우스로 직접 조절할 수 있습니다.
    • 프로필 사진이나 상품 이미지를 꾸밀 때 많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너무 둥글면 사진이 왜곡될 수 있으니 20 ~ 30% 정도가 자연스럽습니다.
  • 투명 배경 이미지는 어떻게 만들까요?
    • 투명 배경은 PNG 형식에서만 가능합니다.
    • 워드 안에서는 "그림 도구 > 색  > 투명색 지정"으로 단색 배경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 복잡한 배경이라면 외부 편집기(예: Paint 3D, Canva)에서 미리 투명하게 만들어주세요
    • 투명 PNG는 다른 도형이나 글 위에 겹쳐도 깔끔하게 보입니다. 특히 로고나 아이콘을 만들 때 유용합니다.
  • 그림이 너무 어둡게 인쇄돼요. 해결할 수 있을까요?
    • 인쇄 전 "파일 > 인쇄 미리 보기"로 확인하세요
    • 모니터와 프린터 색 차이로 어둡게 나올 수 있습니다.
    • 그림 클릭 > 그림 형식 > 수정에서 밝기 +20%, 대비 -10% 정도로 먼저 조절해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 가능하면 컬러 프린터 설정에서 "고품질"모드로 출력하세요
    • 잉크 절약 모드가 켜져 있으면 자동으로 어둡게 나옵니다.
  • 여러 그림을 나란히 정렬하려면 어떻게 할까요?
    • Shift 키를 누른 채 여러 그림을 선택합니다.
    • 상단 "그림 도구 > 정렬 > 가로 맞춤"을 선택합니다.
    • 간격도 "간격 맞춤"으로 균일하게 배치할 수 있습니다.
    • 페이지 폭에 맞게 정렬하면 보기 좋고 인쇄 시 깔끔합니다.
    • 격자선 보기(보기 > 눈금자/격자선)를 켜두면 정렬이 더 쉽습니다.
  • 사진 가장자리에 그림자나 테두리를 주고 싶어요
    • 그림을 클릭하고 "그림 형식 > 그림 스타일"을 열면 다양한 테두리 효과가 있습니다.
    • 그림자, 반사, 입체 효과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특히 "그림자 > 바깥쪽 아래"는 자연스럽고 인기가 많습니다.
    • 테두리 색상은 문서 색상과 어울리게 지정해 줍니다.
    • 너무 두꺼운 선은 산만해 보이니 1.5pt 이하가 좋습니다.
  • 도형 위에 사진을 정확히 덮어씌우고 싶습니다.
    • 먼저 도형을 그리고, 그 위에 사진을 올려둡니다.
    • 사진 오른쪽 클릭 > 도형으로 자르기 > 해당 도형을 선택합니다.
    • 그러면 사진이 도형 형태로 깔끔히 잘립니다.
    • 원 도형을 선택하면 사진이 동그랗게 변합니다.
    • 이 방법은 썸네일 디자인이나 발표 슬라이드에도 자주 쓰이는 방식입니다.
  • 스크린숏을 바로 문서에 넣을 수 있을까요?
    • 삽입 > 스크린숏을 클릭하면 현재 열려 있는 창이 자동으로 표시됩니다.
    • 원하는 창을 선택하거나 "화면 클리핑"을 눌러 필요한 영역만 드래그합니다.
    • 워드가 자동으로 캡처를 넣어줍니다.
    • 튜토리얼 문서나 프로그램 설명서에 매우 유용합니다.
    • 캡처 후 "자르기"로 여백을 정리하면 더 깔끔해집니다.
  • 그림을 일정한 크기로 모두 통일하려면요?
    • 모든 그림을 선택한 후 "그림 형식" > "크기"에서 동일한 수치를 입력합니다.
    • 예를 들어 가로 8cm, 세로 6cm로 맞추면 줄이 일정해집니다.
    • 비율을 유지하려면 "잠금 유지" 옵션을 켜 두세요
    • 한 번에 여러 장을 정리할 땐 "정렬 > 간격 맞춤"으로 균일하게 배치합니다.
    • 이렇게 하면 표나 포트폴리오 문서가 훨씬 더 전문적으로 보입니다.

 

워드에서 그림을 잘 넣으려면 경로를 알고, 이미지 형식을 알맞게 고르는 것이 절반입니다.

드래그, 붙여 넣기, 삽입 메뉴, 온라인 그림, 스크린 샷등 여러 방법을 상황에 맞게 쓰면 작업이 빨라집니다.

그리고 JPG, PNG, SVG의 특징과 장단점을 이해하면, 문서가 더 가볍고 선명해집니다.

마지막으로 줄 바꿈/앵커/정렬/캡션/대체 텍스트 같은 기초 기능을 습관처럼 쓰면, 문서가 끌끔하고 읽기 쉬운 형태로 완성됩니다.

 

https://bit.ly/3IjkuTA

 

[Office 365] 워드 문서 병합(Mail Merge) 쉽게 따라하기

 

ochosblogg.blogspot.com

 

https://bit.ly/3VMFSUl

 

[Office365] 엑셀 이름 정의(Name Range) 활용하기

엑셀 이름 정의로 효율 높이기 엑셀을 사용하다 보면 긴 수식이나 복잡한 범위를 참조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간단한 수식을 사용한 경우라면 상관이 없겠지만, 실제 업무에서는 범위가 엄

raphaelspace7.com

 

https://bit.ly/3EUBu0K

 

[office365] 엑셀 SUM 함수 기초!! 사용법 정리

모든 걸 한꺼번에 더해주는 계산기 안녕하세요 ~ 엑셀에 대해서 글을 작성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면서 쉽...

blog.naver.com

 

반응형